유용한 생활정보
사업체를 운영하면서 직원이나 프리랜서에게 급여를 지급할 때는 원천징수 신고와 납부가 필수입니다. 원천세의 개념, 대상 소득, 신고 기한 등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자세히 안내합니다.
목차
1. 원천세(원천징수)란 무엇인가?
2. 원천징수 대상 소득은?
3. 원천징수 신고와 납부 기한
4. 원천징수 대상 소득별 특징
5. 지방소득세와 원천징수
6. 원천징수 불이행 시 가산세 부과
원천세(원천징수)란 무엇인가?
원천세는 근로소득, 연금소득, 퇴직소득 등 각종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 이를 원천징수라고 하는데, 사업자가 근로자 급여에서 미리 세금을 공제한 뒤 국가에 대신 내는 제도입니다.
원천징수 대상 소득은?
근로소득세: 직원 급여에서 원천징수
연금소득세: 연금 지급액에서 원천징수
퇴직소득세: 퇴직금에서 원천징수
기타소득세: 사업소득, 임대소득 등에서 원천징수
원천징수 신고와 납부 기한
신고 및 납부 기한은 매월 10일(공휴일 경우 순연)입니다. 기한 내 미납 시 가산세가 부과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원천징수 대상 소득별 특징
- 근로소득세 : 매월 급여 지급 시 원천징수
- 사업소득세 : 사업소득자에 지급 시 원천징수
- 연금소득세 : 연금 지급 시 원천징수
- 퇴직소득세 : 퇴직금 지급 시 원천징수
지방소득세와 원천징수
원천징수된 소득세의 10%를 추가로 지방소득세로 납부해야 합니다.
원천징수 불이행 시 가산세 부과
원천징수를 하지 않거나 납부 기한을 지키지 않으면 미납세액의 3%, 신고 불성실 가산세 2.2%가 추가로 부과됩니다.
사업체 운영 시 근로자, 프리랜서 급여에 대한 원천징수는 필수입니다. 소득별 세율을 꼭 확인하고, 신고기한을 지켜 가산세 부담을 피하세요. 서둘러 제때 납부하면 추후 세금 환급 시 유리합니다.
반응형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생아 특례대출 금리부터 신청조건까지, 새내기 부모 필독! (0) | 2024.06.09 |
---|---|
퇴직연금 완전 정복 - DB형, DC형, IRP 선택부터 중도인출, 해지까지 (0) | 2024.06.09 |
소상공인의 든든한 버팀목, 노란우산공제 가입부터 혜택까지 (0) | 2024.06.07 |
부가가치세 업종별 세율과 계산 방식까지 꼭 체크해야 할 꿀팁 총정리! (0) | 2024.06.07 |
갭투자로 알뜰하게 집 사는 법! 반드시 명심해야 할 투자 꿀팁 (1) | 2024.06.07 |
개인회생, 가계부채 고민 해결사! 신청부터 절차까지 꼼꼼 가이드 (0) | 2024.06.07 |
주택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법안 통과, 무엇이 달라질까? (0) | 2024.06.07 |
주부도 쉽게 받는 대출 BEST 3 - 무서류 대출부터 생계비 지원까지 (0) | 2024.06.05 |